공지&자료
- 전체공지
- 학과공지
- 대학원공지
- 학과소식
- 행정자료
-
-
10
2025.11대학원공지 [일반대학원] 2025학년도 전기 대학원 청구논문 심사위원 위촉 및 논문심사 실시 안내 (~12.19.)
- 논문 대필 및 표절 등 연구윤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논문심사에 만전을 기하여 주시고, 학위수여 예정증명서는 논문심사가 완료된 후 발급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학과사무실 서류 제출 기한 : 12.19.(금) 14:00까지 1. 심사 방법 및 서류 제출 안내 - 석사과정 1) [심사방법] 파일 참고 2) [석사] 파일 1p 작성하여 심사 전 준비 3) 심사 진행 *비대면인 경우 증빙자료 제출 4) 심사요지서에 심사위원 하단 날인, 심사요지 작성(심사위원장) 후 제출 5) [석사] 파일 2p 연구윤리 서약서 작성 제출 (지도교수 서명 필수) 2. 공개/조건부동의 관련 - 지난번 사전 조사와 관계 없이 최종적으로 1) 공개인 경우 > 서류 미제출 2) 조건부동의인 경우 > [조건부동의] 파일 작성 제출 3. 기타사항 (별첨) 파일 설명 - 논문심사위원변경신청(서식) : 논문심사위원이 변경되는 경우 11.21.(금) 11:00까지 제출 (이후 변경 불가) - 논문제목 변경 사유서(서식) : 공개발표~12.19.(금) 서류제출 까지는 제목 변경 가능. 12.19.(금) 심사서류제출 이후 변경되는 경우에만 제출
-
07
2025.11학과공지 2025학년도 Gap-Zero 서비스 운영 평가 협조 요청 (~12.24.)
1. 건명: 2025학년도 Gap-Zero 서비스 운영 평가 2. 평가 마감: 2025. 12. 24.(수)까지 3. 평가 대상: 39학과 367개 기업 4. 평가자: 교수 및 학생 5. 평가방법: 충북대학교 진로취업플랫폼 내 평가 https://jobadream.cbnu.ac.kr/mento/login.do 6. 평가내용: 기업소개, 취업역량, 취업선배후기
-
03
2025.11행정자료실 2025년 하반기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등록 안내 (~11.25. 11:00)
등록 후 [붙임3] 파일 작성 하여 11.25.(화) 11:00까지 jojoohee@chungbuk.ac.kr 로 송부 * 해당 연구실 목록
-
28
2025.10대학원공지 『2025학년도 동계 대학원 논문제출자격 외국어시험 대체강좌』운영 안내
-
-
-
07
2025.112025학년도 Gap-Zero 서비스 운영 평가 협조 요청 (~12.24.)
1. 건명: 2025학년도 Gap-Zero 서비스 운영 평가 2. 평가 마감: 2025. 12. 24.(수)까지 3. 평가 대상: 39학과 367개 기업 4. 평가자: 교수 및 학생 5. 평가방법: 충북대학교 진로취업플랫폼 내 평가 https://jobadream.cbnu.ac.kr/mento/login.do 6. 평가내용: 기업소개, 취업역량, 취업선배후기
-
10
2025.09[스마트융복합소재 캡스톤디자인]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일정 및 제출서류 알림
[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1. 일시 : 2025.11.20.(목) 10:00~17:00 2. 장소 : 개신문화관 1층 로비 [ 제출서류 ] 1) 캡스톤디자인 과제신청서 : 9/24(수) 14:00 까지 ①, ② 2) 포스터/결과집 : 11/13(목) 10:00까지 (확정) ① 참고) https://material.cbnu.ac.kr/material5_1_1/7569 3) 캡스톤디자인 재료비 신청서 : 과제신청서 제출 이후~경진대회 당일 까지, 기간 중 지출 필요 시 수시 제출 ② 4) 경진대회 : 11/20(목) 10:00~17:00 5) 졸업논문 : 12/3(수) 11:00까지 (확정) ① 6) 캡스톤디자인 과제 결과보고서 : 12/3(수) 17:00까지 (확정) ① * 모든 서류는 지도교수님께 승인 받은 후 제출 [ 제출방법 ] ① jojoohee@chungbuk.ac.kr (한글파일) ②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
29
2025.08** 공결 신청 안내 ** (2025.09.01.기준)
-
29
2025.082026-1학기 성적장학금 배정 관련 공지사항 (영어성적 반영) (~1.16.)
* 기타사항 1) 국가장학금(0~8분위)을 받는 학생의 경우, 전액장학금 대상이므로 성적장학금과 중복 불가. (9분위 학생은 중복가능) 2) 영어성적 반영하여 성적환산을 한 최종 점수의 순위로 장학금을 배정함. 3) 영어성적 미제출의 경우에도 기본점수 5점이 반영됨. * 반영예시 학생 A : 교과성적 4.5, 영어성적 미제출 → 점수 환산 시 90점 + 영어점수 미제출 5점 = 95점 학생 B : 교과성적 3.9, 영어성적 990점 → 점수 환산 시 83.7점 + 영어점수 990점 10점 = 93.7점 학생 C : 교과성적 4.1, 영어성적 700점 → 점수 환산 시 85.5점 + 영어점수 700점 8점 = 93.5점
-
-
-
10
2025.11[일반대학원] 2025학년도 전기 대학원 청구논문 심사위원 위촉 및 논문심사 실시 안내 (~12.19.)
- 논문 대필 및 표절 등 연구윤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논문심사에 만전을 기하여 주시고, 학위수여 예정증명서는 논문심사가 완료된 후 발급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학과사무실 서류 제출 기한 : 12.19.(금) 14:00까지 1. 심사 방법 및 서류 제출 안내 - 석사과정 1) [심사방법] 파일 참고 2) [석사] 파일 1p 작성하여 심사 전 준비 3) 심사 진행 *비대면인 경우 증빙자료 제출 4) 심사요지서에 심사위원 하단 날인, 심사요지 작성(심사위원장) 후 제출 5) [석사] 파일 2p 연구윤리 서약서 작성 제출 (지도교수 서명 필수) 2. 공개/조건부동의 관련 - 지난번 사전 조사와 관계 없이 최종적으로 1) 공개인 경우 > 서류 미제출 2) 조건부동의인 경우 > [조건부동의] 파일 작성 제출 3. 기타사항 (별첨) 파일 설명 - 논문심사위원변경신청(서식) : 논문심사위원이 변경되는 경우 11.21.(금) 11:00까지 제출 (이후 변경 불가) - 논문제목 변경 사유서(서식) : 공개발표~12.19.(금) 서류제출 까지는 제목 변경 가능. 12.19.(금) 심사서류제출 이후 변경되는 경우에만 제출
-
28
2025.10『2025학년도 동계 대학원 논문제출자격 외국어시험 대체강좌』운영 안내
-
18
2025.092025-2학기 대학원 [실험실 안전 교육]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대학원 학위과정 수료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실험실 안전 교육 이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합니다. *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대학원 자연과학계, 공학계,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에게 적용 가. 이수대상: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나. 교육방법: 안전관리본부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온라인교육 6시간 이상 이수 다. 등록방법: 온라인교육 이수 후 이수증을 개인별로「개신누리」에 등록 <개신누리→ 수업→ 실험실안전교육실적관리→ 실험실안전실적신청(학생)> 라. 처리절차: 학생 등록→ 학과 조교 승인→ 단과대학 담당자 승인→ 대학원정책실 승인 마. 이수 및 이수증 등록 기간: 2025. 9. 15.(월) ~ 2026. 2. 27.(금) 바. 안내사항 1) 학점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대학원 수료요건에 해당 2) 2025학년도 전기(2026.2월) 수료예정자의 경우, 원활한 수료사정을 위하여 수강 및 이수증 등록을 2025. 12. 19.(금)까지 완료 * 2026.2월 졸업예정자의 경우 디펜스 전까지 완료 3) 석·박사과정은 12시간, 통합과정 24시간 이상 의무 이수
-
18
2025.092025-2학기 대학원 [연구윤리]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2025학년도 2학기 대학원「연구윤리」온라인 교육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오니 해당 학생은 이수하기 바랍니다. - 이수기간: 2025. 9. 15.(월) ~ 12. 19.(금) - 이수방법: 온라인(충북대LMS 누리집) 개별 이수 후 개신누리에 학생이 직접 이수증 등록 - 기타사항: 2025. 12. 19.(금) 이후에는 수강이 불가하오니 해당학기 이수기간 내 이수증 출력 및 개신누리 실적 등록 필수
-
-
-
20
2025.11N 신소재공학과, 50주년 기념행사 진행..."새로운 50년을 설계하다“ (2025.11.14.)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충북대학 신소재공학과가 1975년 금속공학과로 시작한 이후 학과 설립 50주년을 맞아 지난 11월 14일(금) 법학전문대학원 다목적홀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학과의 지난 반세기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50년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고창섭 총장, 정상문 공과대학장, 총동문회 박흠찬 사무처장, 명예교수 및 교수진, 재학생과 동문 150여 명이 참석해 학과의 오랜 역사와 성장을 함께 기념했다. 아울러 현재 재직 중인 교수진과 1기 동문이 각각 1,000만 원과 500만 원의 발전기금을 기탁해 후학 양성과 학과 발전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고창섭 총장은 축사에서 “신소재공학과 50주년은 과거를 기념하는 자리가 아니라, 미래 50년을 향한 새로운 도약의 출발점”이라며 “AI 융합 소재, 친환경 첨단소재, 지속가능한 에너지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 중심 학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상문 공과대학장은 “공과대학의 중심에서 신소재공학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혁신과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충북형 공학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박기대 학과장은 학과 미래 비전 발표를 통해 “글로벌 연구력과 동문 참여를 통한 평판도 향상이 학과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고 밝혔다. 한편, 신소재공학과는 반도체, 이차전지, 에너지 소재 등 국가 전략 산업 분야에서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대표 학과로 성장해왔다. https://www.breaknews.com/1162034
-
16
2025.10신소재공학과 오세영 씨, 실리콘 한계를 넘는 초저전력 트랜지스터 칩 어레이 구현 (2025.10.15.)
-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표지논문 선정 - 재료공학전공 오세영(박사 4년, 지도교수 조병진) 씨가 주도한 연구 결과가 세계적인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IF 26.8)’ 온라인판 9월 2일자에 게재됐으며, 오는 2026년 발간되는 7호 저널의 표지 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이 논문은 ‘Chip-Scale Graphene/IGZO Cold Source FET Array Enabling Sub-60 mV dec-1 Super-Steep Subthreshold Swing(칩 스케일 그래핀/IGZO 콜드 소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통한 60 mV/dec 이하 초경사 문턱전압이하 스윙 구현)’이라는 제목으로 실리콘 트랜지스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성과를 발표했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는 문턱전압이하스윙(SS)을 상온에서 60 mV/dec 이하로 낮추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 연구팀은 선형적인 상태밀도함수(DOS)를 갖는 반금속 소재를 소스 전극으로 활용해 채널/소스 계면의 열전자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춤으로써 초경사 스위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원리에 착안해 콜드 소스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단일층 그래핀을 소스 전극으로,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을 반도체 채널로 구성한 8×8 콜드 소스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작해 상온에서도 60 mV/dec 이하의 SS 특성을 칩 단위에서 균일하게 구현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졸-겔 공정으로 IGZO 반도체를 증착한 뒤 전사 공정으로 그래핀을 정밀하게 소스 전극에 형성함으로써 어레이 구조를 완성했으며, 기존 금속 전극 기반 소자와 달리 그래핀 전극을 도입함으로써 균일하고 안정적인 초저전력 스위칭 특성을 확보했다. 또한 게이트 유전체의 종류에 따른 SS 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낮은 body factor를 갖는 하프늄 산화물 유전체가 SS 값을 60 mV/dec 이하로 낮추는 핵심 요소임을 규명했다. 이번 논문은 오세영씨가 단독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조병진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박우진 박사후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김용훈 박사가 공동 교신저자로, 삼성전자 강경록 연구원이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연구를 지도한 조병진 교수는 “기존 연구는 단일 소자 수준에서만 콜드 소스 현상을 보고했지만, 이번 연구는 대면적 공정이 가능한 IGZO 산화물 반도체와 고유전율 유전체를 적용해 칩 어레이 수준에서 높은 수율과 신뢰성 있는 초경사 스위칭 특성을 확보한 세계 최초의 사례”라며 “인공지능과 초저전력 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차세대 트랜지스터 설계의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오세영씨가 3년간 수행한 충북대-삼성전자 DS 산학과제의 결과로, 한국과 미국에서 관련 특허를 출원했으며 학문적·산업적 가치가 높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48&bbsNo=14&pageIndex=2&pageUnit=10&searchCnd=all&nttNo=162122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61771&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1
-
15
2025.10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시냅스 트랜지스터’ 혁신적 설계법 개발 (2025.10.14.)
- 세계적 권위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게재 -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핵심 기술인 시냅스 트랜지스터의 비선형성과 안정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 결과를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mpact Factor 19.0, JCR 재료과학 분야 상위 4.9%)에 게재했다. □ 이 연구는 ‘Dynamic Control of Synaptic Plasticity by Competing Ferroelectric and Trap-Assisted Switching in IGZO Transistors with Al2O3/HfO2 Dielectrics’라는 제목으로 IGZO(인듐-갈륨-아연 산화물) 기반 트랜지스터에 Al2O3/HfO2 유전체 적층 구조를 도입하여, 강유전 분극과 트랩 전하가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독창적인 소자 설계를 제안했다. □ 이번 연구에는 소재 분야 시뮬레이션 전문가인 김한슬 신소재공학과 교수(공동교신저자)와 신소재공학과 권오준(박사 3년, 지도교수 조병진) 씨, 이동호(공동 제1저자, 4학년, 지도교수 김한슬) 학생과 한국재료연구원 윤종원 박사, 한양대학교 안지훈 교수 등이 공동 연구에 참여했다. □ 연구팀은 매립형 게이트 구조의 IGZO 기반 트랜지스터에 Al2O3/HfO2 유전체 적층 구조를 도입해 강유전 분극과 트랩 전하 듀얼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 독창적인 소자를 개발했으며, 다양한 실험적 분석기법과 원자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동작 메커니즘이 유효함을 입증했다. □ 특히 단일 전압 극성에서 주파수 변화만으로 전기 전도도의 증대와 억제 반응을 동시에 구현함과 동시에 전기 전도도 변화의 선형성 또한 크게 향상된 시냅스 소자 특성을 구현했다. □ 이런 높은 선형성 덕분에 MNIST 필기 숫자 시뮬레이션 평가에서는 97% 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달성함으로써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 하드웨어의 실현 가능성을 보였다. □ 조병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강유전성과 전하 트랩 특성의 경쟁적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활용해 기존 시냅스 소자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며 “차세대 뉴로모픽 회로 설계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61731&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1
-
13
2025.10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연구팀, 차세대 리튬 금속 배터리 분리막 개발 (2025.10.02.)
-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 게재 -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는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연구팀이 리튬 금속 배터리 상용화의 핵심 난제인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9월 30일(화) 밝혔다. ☐ 리튬 금속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월등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닌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으나,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해 안전성과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상용화를 가로막아 왔다. 특히 전극-전해질 계면에서의 이온 불균일 이동과 불안정한 계면 형성은 전지 단락과 화재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꼽혀왔다. □ 연구팀은 전이금속 탄화물 2차원 소재인 MXene을 도입한 PVDF-HFP 기반 기능성 분리막을 개발했다. 해당 분리막은 분리막은 리튬 이온의 균일한 이동을 유도하고 전지 내부에서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리튬 증착을 통한 덴드라이트 성장 억제, 장수명, 고효율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 또한, 밀도범함수이론 계산 및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MXene의 극성 표면기가 전해질 음이온 환원을 촉진하여 안정적 고체 전해질 계면이 형성되는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배터리 소재 설계와 차세대 고에너지 밀도 리튬 금속 배터리 원천기술 확보와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와 △학연협력플랫폼구축시범사업, △교육부의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인프라 고도화)의 지원을 받았으며,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 IF 26.0)에 ‘Regulating Solvation Dynamics and Lithium Plating via Ti3C2Tx-Engineered PVDF-HFP Separators’란 제목으로 9월 10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 연구에는 이동주 교수와 KAIST 김지한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 김형섭 박사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 이동주 교수는 “분리막의 구조적·기능적 혁신을 통해 리튬 금속 배터리의 핵심 난제를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발전에 실질적인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61611&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2
-
-
-
03
2025.112025년 하반기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등록 안내 (~11.25. 11:00)
등록 후 [붙임3] 파일 작성 하여 11.25.(화) 11:00까지 jojoohee@chungbuk.ac.kr 로 송부 * 해당 연구실 목록
-
17
2025.06연구·검사용 폐시약(폐유독물) 위탁처리 알림
-
14
2024.05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안내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및 우리대학 연구노트 규정에 의거 국가R&D과제를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는 연구노트를 발급받아 작성해야 합니다. 2. 이에 산학협력단에서는 연구노트 미발급에 따른 연구자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하고 연구자분들의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연구노트 신청·수령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적극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아울러 각 학과·부서에서는 소속 연구자에게 공람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1) 신청 및 발급: 연구비관리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신청(신청서 출력 불필요) 2) 수령: 학내우편 발송, 방문수령 중 택1 나. 연구노트교육: 스마트교육플랫폼에서 온라인 교육 수강 가능 다. 참고사항 1) 비대면신청을 하시면 신청서 출력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2) 교내우편 신청 시 수령은 신청일 기준 2~3일 뒤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교내우편 신청 시 배송지의 경우 책임자연구실 또는 희망배송지란에 입력을 부탁드립니다. 4) 방문수령하실 경우 수령예정일과 수령인 성명 및 연락처를 필수로 입력하셔야 하며 반드시 사전에 산학협력단으로 유선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연구노트발급현황 메뉴를 통하여 발급대상과제 확인이 가능하오니 미처 발급신청을 못하신 과제에 대해서는 즉시 연구노트 발급 신청 및 수령을 부탁드립니다. 다. 관련문의처: 연구감사팀 권순평 선임(내선번호:3492)
-
16
2023.03퇴학원 서식
자퇴 희망 시 작성하여 1)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E8-1-102) 2) jojoohee@chungbuk.ac.kr 로 서명 완료 된 pdf 또는 한글파일 송부 후 학과사무실로 연락 043-261-24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