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자료
- 전체공지
- 학과공지
- 대학원공지
- 학과소식
- 행정자료
-
-
17
2025.02학과공지 N 2025-1학기 반도체특성화대학 융합전공 추가 모집안내 (~2.19. 17:00)
○ 2025학년도(3기) 융합전공 추가 모집공고 1. 모집대상: 반도체특성화대학지원사업 참여학과 4학기 이수자(27년 2월 졸업가능자) *3기 정기모집 미선발자 재지원 가능 - 제외: 편입생, 타 다전공 이수자 2. 모집기간: ~ ‘25. 2. 19.(수) 17:00까지 3. 신청서류: [붙임파일] ①융합전공 신청서 ②교과목 체크리스트(4학기까지 수강완료 한 교과목까지만 체크) + ③성적증명서 4. 선발결과: 2월 말 예정 5. 사업참여기간: '25. 3. 1.~'27. 2. 28. * 기타 문의사항은 학과사무실로 (043-261-2411) * 융합전공, 트랙, 사업단 소개자료 (2024.11.20.기준) : https://material.cbnu.ac.kr/material5_1_1/3695 --------------------------------------------------------------------------------------------------------- [ 제출방법 ] 2.19.(수) 17:00까지 - jojoohee@chungbuk.ac.kr 로 서명 된 한글파일 + 성적증명서 제출 - 서명이 어려운 경우 생략 후 메일에 대리서명요청 바람 [메일제목] 학번/이름/융합전공 신청 [메일내용] - 학번 : - 이름 : - 연락처 : - 대리서명요청 : O / X --------------------------------------------------------------------------------------------------------- ○ (중요) 3기 추가 선발자 개신누리시스템 입력 안내 3기 추가 선발자는 ’25학년도 2학기 다전공 신청기간에 개신누리시스템으로 융합전공 신청 필수입니다. 미신청 시 사업단 각종 프로그램, 장학금 수혜 불가능 * 실제 사업참여기간은 25학년도 1학기(2025. 3. 1.)부터입니다, 본교 융합전공 승인 학년도/학기와 상이하니 참고바랍니다. 1. 개신누리시스템 신청기간: ‘25. 7. 예정 2. 개신누리시스템 신청방법: 개신누리-학사-학적-다부전공-다부전공신청 ○ 기타사항 첨부된 설명회 자료는 3기 융합전공생 정기모집 기준입니다. 정기모집과 상이한 부분은 아래 항목 또는 슬라이드 메모 참고 바랍니다. - p.2 신청자격: 참여학과 4학기 이수자(27년 2월 졸업가능자) - p.2 개신누리 다전공 신청: ‘25. 7. 예정 - p.5 융합전공 개설 교과목 추가: 인공지능기초프로그래밍,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및실습, 시스템반도체설계및실습
-
22
2025.01학과공지 2025학년도 1학기 수강신청 안내 (전공 개편 및 신입생 일괄수강신청)
-
21
2025.01학과공지 2025-1학기 실험교과목 수강신청 공지사항
[ 신소재공학과 실험교과목 수강신청 공지사항 ] 현재 학과에서는 실험교과목을 분반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반을 운영하는 이유는 시간대를 나누기 위해서가 아닌 원활한 실험환경 조성을 위한 인원 수 조정때문입니다. 02강좌를 신청하더라도 01강좌 시간대에 수업을 진행하므로, 02강좌 수강 후 01강좌 시간대에 다른 수업을 신청하는 것은 불가함을 알립니다. 예1) 반도체소자공정실험 02강좌, 월 8,9 교양 동시 수강 > 불가 예2) 전기화학촉매실험 02강좌, 재료공학원리 동시 수강 > 불가 예3) 재료구조및물성실험 02강좌, 공학수학Ⅰ 동시 수강 > 불가 담당 교수님들께 개별 문의하지 않도록 유의 바랍니다. 추후 중복 수강신청 발견 시 수강취소 조치 하겠습니다. @ 초과 수강신청 관련 안내 반도체소자공정실험 : 01, 02강좌 각각 20명 전기화학촉매실험 : 01, 02강좌 각각 20명 재료구조및물성실험 : 01, 02강좌 각각 15명 으로 인원제한이 있습니다. 01번 강좌가 꽉 찬 경우 02번 강좌로 수강신청하면 되며, 01,02번 강좌 수강인원이 둘 다 초과되는 경우에만 초과신청이 가능함을 알립니다. * 교수님들께 개별 문의 금지, 개신누리 상으로 초과신청 하기 바람. @ 실험교과목 명 변경 알림 1) 반도체소자공정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Ⅰ) 2) 전기화학촉매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Ⅲ) 3) 반도체패키징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Ⅳ) 4) 재료구조및물성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Ⅴ) 기타 문의는 학과사무실로. 043-261-2411
-
13
2025.01대학원공지 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 석·박사학위 논문제출자격시험 시행계획
[붙임1] 파일에 기재된 내용은 학과사무실에서 행정실>대학원정책실까지의 제출기간이므로 학생이 학과사무실로 제출하는 날짜는 하단 기재된 기간에 맞춰 제출하기 바랍니다. 1. 외국어시험 대체 신청기한 : ~2025.2.26.(수) 11시까지 - 대체신청서+외국어성적표 방문제출 또는 스캔하여 메일 제출 jojoohee@chungbuk.ac.kr 2. 종합시험 과목 선정기한 : 2025.1.27.(월) ~ 2025.2.5.(수) > 2.5.(수) 11시까지 3과목 선정하여 학과사무실로 회신 043-261-2411 또는 jojoohee@chungbuk.ac.kr * 위 기간 내 과목을 선정하지 않으면 원하는 과목을 접수할 수 없음 * 과목 선정 후 2025.2.10.(월)~2.12.(수) 18:00 까지 개신누리에 접속하여 개별로 접수해야 최종 완료 (개신누리에 본인 사진이 없을 경우 원서접수 불가 – 사진 지참 후 학과사무실 방문 또는 메일 jojoohee@chungbuk.ac.kr 파일 제출) * 종합시험 기간 2025.3.4.(화)~3.7.(금) 기간 중 1일 시행 (상세 일정 추후 공지) 졸업에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실험실 소속 대학원생 전체(파트, 학연 포함)에 전달 바랍니다.
-
-
-
17
2025.02N 2025-1학기 반도체특성화대학 융합전공 추가 모집안내 (~2.19. 17:00)
○ 2025학년도(3기) 융합전공 추가 모집공고 1. 모집대상: 반도체특성화대학지원사업 참여학과 4학기 이수자(27년 2월 졸업가능자) *3기 정기모집 미선발자 재지원 가능 - 제외: 편입생, 타 다전공 이수자 2. 모집기간: ~ ‘25. 2. 19.(수) 17:00까지 3. 신청서류: [붙임파일] ①융합전공 신청서 ②교과목 체크리스트(4학기까지 수강완료 한 교과목까지만 체크) + ③성적증명서 4. 선발결과: 2월 말 예정 5. 사업참여기간: '25. 3. 1.~'27. 2. 28. * 기타 문의사항은 학과사무실로 (043-261-2411) * 융합전공, 트랙, 사업단 소개자료 (2024.11.20.기준) : https://material.cbnu.ac.kr/material5_1_1/3695 --------------------------------------------------------------------------------------------------------- [ 제출방법 ] 2.19.(수) 17:00까지 - jojoohee@chungbuk.ac.kr 로 서명 된 한글파일 + 성적증명서 제출 - 서명이 어려운 경우 생략 후 메일에 대리서명요청 바람 [메일제목] 학번/이름/융합전공 신청 [메일내용] - 학번 : - 이름 : - 연락처 : - 대리서명요청 : O / X --------------------------------------------------------------------------------------------------------- ○ (중요) 3기 추가 선발자 개신누리시스템 입력 안내 3기 추가 선발자는 ’25학년도 2학기 다전공 신청기간에 개신누리시스템으로 융합전공 신청 필수입니다. 미신청 시 사업단 각종 프로그램, 장학금 수혜 불가능 * 실제 사업참여기간은 25학년도 1학기(2025. 3. 1.)부터입니다, 본교 융합전공 승인 학년도/학기와 상이하니 참고바랍니다. 1. 개신누리시스템 신청기간: ‘25. 7. 예정 2. 개신누리시스템 신청방법: 개신누리-학사-학적-다부전공-다부전공신청 ○ 기타사항 첨부된 설명회 자료는 3기 융합전공생 정기모집 기준입니다. 정기모집과 상이한 부분은 아래 항목 또는 슬라이드 메모 참고 바랍니다. - p.2 신청자격: 참여학과 4학기 이수자(27년 2월 졸업가능자) - p.2 개신누리 다전공 신청: ‘25. 7. 예정 - p.5 융합전공 개설 교과목 추가: 인공지능기초프로그래밍,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및실습, 시스템반도체설계및실습
-
22
2025.012025학년도 1학기 수강신청 안내 (전공 개편 및 신입생 일괄수강신청)
-
21
2025.012025-1학기 실험교과목 수강신청 공지사항
[ 신소재공학과 실험교과목 수강신청 공지사항 ] 현재 학과에서는 실험교과목을 분반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반을 운영하는 이유는 시간대를 나누기 위해서가 아닌 원활한 실험환경 조성을 위한 인원 수 조정때문입니다. 02강좌를 신청하더라도 01강좌 시간대에 수업을 진행하므로, 02강좌 수강 후 01강좌 시간대에 다른 수업을 신청하는 것은 불가함을 알립니다. 예1) 반도체소자공정실험 02강좌, 월 8,9 교양 동시 수강 > 불가 예2) 전기화학촉매실험 02강좌, 재료공학원리 동시 수강 > 불가 예3) 재료구조및물성실험 02강좌, 공학수학Ⅰ 동시 수강 > 불가 담당 교수님들께 개별 문의하지 않도록 유의 바랍니다. 추후 중복 수강신청 발견 시 수강취소 조치 하겠습니다. @ 초과 수강신청 관련 안내 반도체소자공정실험 : 01, 02강좌 각각 20명 전기화학촉매실험 : 01, 02강좌 각각 20명 재료구조및물성실험 : 01, 02강좌 각각 15명 으로 인원제한이 있습니다. 01번 강좌가 꽉 찬 경우 02번 강좌로 수강신청하면 되며, 01,02번 강좌 수강인원이 둘 다 초과되는 경우에만 초과신청이 가능함을 알립니다. * 교수님들께 개별 문의 금지, 개신누리 상으로 초과신청 하기 바람. @ 실험교과목 명 변경 알림 1) 반도체소자공정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Ⅰ) 2) 전기화학촉매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Ⅲ) 3) 반도체패키징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Ⅳ) 4) 재료구조및물성실험 (구 재료공학실험Ⅴ) 기타 문의는 학과사무실로. 043-261-2411
-
12
2024.072024년 다전공/부전공/융합전공/소단위전공 등 안내자료
첨부파일 참고
-
-
-
13
2025.01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 석·박사학위 논문제출자격시험 시행계획
[붙임1] 파일에 기재된 내용은 학과사무실에서 행정실>대학원정책실까지의 제출기간이므로 학생이 학과사무실로 제출하는 날짜는 하단 기재된 기간에 맞춰 제출하기 바랍니다. 1. 외국어시험 대체 신청기한 : ~2025.2.26.(수) 11시까지 - 대체신청서+외국어성적표 방문제출 또는 스캔하여 메일 제출 jojoohee@chungbuk.ac.kr 2. 종합시험 과목 선정기한 : 2025.1.27.(월) ~ 2025.2.5.(수) > 2.5.(수) 11시까지 3과목 선정하여 학과사무실로 회신 043-261-2411 또는 jojoohee@chungbuk.ac.kr * 위 기간 내 과목을 선정하지 않으면 원하는 과목을 접수할 수 없음 * 과목 선정 후 2025.2.10.(월)~2.12.(수) 18:00 까지 개신누리에 접속하여 개별로 접수해야 최종 완료 (개신누리에 본인 사진이 없을 경우 원서접수 불가 – 사진 지참 후 학과사무실 방문 또는 메일 jojoohee@chungbuk.ac.kr 파일 제출) * 종합시험 기간 2025.3.4.(화)~3.7.(금) 기간 중 1일 시행 (상세 일정 추후 공지) 졸업에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실험실 소속 대학원생 전체(파트, 학연 포함)에 전달 바랍니다.
-
17
2022.03대학원생을 위한 학사 안내서
대학원 학사 업무에 참고 바랍니다.
-
29
2018.10[대학원] 석,박사학위논문 작성 요령
대학원 참고자료 입니다
-
05
2025.022025학년도 1학기 대학원「수료후 등록생」 등록 안내 (~2.6. 10:00)
2025.2월 수료 예정자 등록금 고지서 출력기간이 다름에 유의 작성하여 2.6.(목) 10:00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 * 제출방법 : 방문제출 또는 jojoohee@chungbuk.ac.kr 파일 제출 * 제출서류 :〔붙임2〕수료후 등록생 신청서 > 지도교수, 주임교수 날인 학과에서 처리 가능
-
-
-
17
2024.12충북대 신소재공학과 한다경 씨, 2024년도 국제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Best Paper Award 논문상 수상 (2024.11.26.)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신소재공학과 한다경(석사 1년, 지도교수 윤정원) 씨가 지난 11월 5일(화)부터 11월 8일(금)까지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진행된 제22회 국제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정기학술대회(The 2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ISMP)에서 Best Paper Award 논문상을 수상했다. ☐ 한다경 씨는‘Effect of Cu microstructure on interfacial compounds formation and growth in Sn-3.0Ag-0.5Cu solder joints(주석-은-구리 솔더 접합부 계면 금속간 화합물 생성 및 성장에 미치는 구리 기판 미세구조의 영향)’ 이라는 제목의 연구를 발표해 상을 받았다. ☐ 이 연구는 첨단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사용되는 구리 기판의 미세 구조 제어 및 변화에 따른 주석-은-구리 합금과의 계면 반응과 화합물 성장 거동에 관한 연구 결과다. ☐ 이번 학술대회는 패키지에 가해지는 응력 및 신뢰성을 연구하는 유럽 전문 학술대회 'IRSP'과 공동으로 진행해 'ISMP-IRSP 2024'로 진행됐으며, 세계 각국 패키징 전문가가 참석해 120여 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해 첨단 패키징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및 공정 분야 혁신 연구와 기술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 한편, 이번 연구는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접합 소재 및 접합 공정 개발과 관련된 내용으로 산업통상자원부 K-Chips 사업과 연구재단의 STEAM 연구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53841&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6
-
19
2024.09신소재공학과 대학원생 권영은,김신회 2024년 연구장려금 지원 사업 선정 (2024.09.11.)
2024년도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인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2차)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국내 석사과정생의 연구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국내 석사과정생의 학위논문 연구와 관련된 창의적·도전적 아이디어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처음으로 시행됐다. 생명시스템학과 박하은(석사 1년, 지도교수 김상준)씨는 ‘GBA1-연관 파킨슨병에서 RIPK2 인산화효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유전적 위험요인으로 잘 알려진 GBA1과 인산화효소 RIPK2의 연관성을 설명함으로써 아직 밝혀지지 않은 신경세포에서의 RIPK2 기능을 파악하여 향후 파킨슨병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전공 권영은(석사 1년, 지도교수: 조병진) 씨는 '2차원 금속성 원자층 도입을 통한 페르미 에너지 탈고착화 기술 기반의 2차원 Te 트랜지스터 특성 향상 연구(High-Performance 2D Te Transistor utilizing Fermi Energy level Depinning via the Introduction of Metallic 2D Atomic Layer)'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과제를 통해 금속성 2차원 중간층(Graphene, NbS2)을 이차원 텔루륨(2D-Te) 반도체와 벌크 금속 사이에 도입해 Te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성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관련 전하 주입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전공 김신회(석사 1년, 지도교수: 조병진)‘2차원 Te-MoS2 반도체 접합 기반 적외선 광 감지 메커니즘 연구 (Exploration on 2D Te-MoS2 Semiconductor Junction-Based Photo Detection Mechanism)’를 주제로 구체적으로, 2차원 반도체인 텔루륨(Te)과 이황화몰리브덴(MoS2)를 활용해 PN 헤테로 접합 광센서 소자를 제작하고, 3단자 소자 구조의 게이트 전압 조절 최적화를 통해 광반응 특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고성능 광소자 구현 및 작동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중략) 국내 대학원에 전일제로 재학 중인 석사과정생(석·박사통합과정생 포함)을 대상으로 총 750명이 선발됐으며, 연구 기간 1년간 월 100만원 씩 총 1,200만원을 지원받는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48&bbsNo=14&pageIndex=2&pageUnit=10&searchCnd=all&nttNo=151887
-
03
2024.09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합성과정에서의 실시간 고도분석 리뷰논문 세계적 학술지 게재 쾌거 (2024.08.13.)
이동주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주저자, 정상문 화학공학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합성과정에서의 실시간 고도분석에 관한 리뷰논문이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학술지 ACS Energy Letters(IF:19.3)에 8월 2일자로 게재됐다. 이 논문은 “Unveiling the Future of Li-ion Batteries: Real-Time Insights into the Synthesis of Advanced Layered Cathode Materials(리튬 이온 배터리의 미래: 고성능 층상형 양극재 합성을 위한 실시간 분석기술)”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김형섭 박사와 공동연구로 진행된 이 논문은 리튬이차전지의 층상형 양극재 합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상전이와 미세조직 및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시간 분석기술, 합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과 더불어 향후 전망 및 산업적 활용 분야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했으며, 이 연구결과는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사업과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의 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 사업(UNI-CORE)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16
2024.05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2024년 4월호 표지 논문 선정 (2024.04.25.)
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이 주도한 최근 연구결과가 국제저명학술지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IF=6.4)’의 2024년 12권 15호 앞 표지(Front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 조병진 교수 연구팀은 ‘Designing buried-gate InGaZnO transistors for high-yield and reliable switching characteristics(높은 수율 및 고신뢰성 스위칭 특성을 위한 매립형 게이트 구조의 인듐갈륨아연계 산화물 트랜지스터 소자 개발)’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논문은 신소재공학과 김도형(공동 제1저자: 오세영)씨가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와 박우진 박사후연구원, 그리고 한국재료연구원의 권정대 박사와 김용훈 박사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투명성, 유연성, 홀로그램, 초 고해상도 특성이 구현 가능한 차세대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픽셀 스위칭 소자인 고성능 박막 트랜지스터 개발이 필요하고, 이 기술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와이드 밴드갭 산화물 InGaZnO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는 전압, 온도, 빛과 같은 외부 자극에 상당히 민감한 전기적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조병진 교수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이트 전극을 하부 기판에 매립시킨 트랜지스터 구조를 적용하면 평평한 유전체와 채널층을 구현해 게이트 전기장을 채널에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트랜지스터에 비해 굴곡이 존재하지 않는 매립형 소자 구조의 안정성으로 트랜지스터 칩 수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전력이 낮은 고 이동도의 스위칭 소자 구현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조병진 교수는 “매립형 구조의 산화물 트랜지스터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회로에 적용해 저전력 고속 스위칭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집적화를 위한 3차원 적층 메모리 기술로도 확장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본 연구성과는 한국연구재단 지역대학우수과학자사업, KIAT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산자부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및 한국재료연구원 주요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48&bbsNo=14&pageIndex=3&pageUnit=10&searchCnd=all&nttNo=148031
-
-
-
14
2024.05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안내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및 우리대학 연구노트 규정에 의거 국가R&D과제를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는 연구노트를 발급받아 작성해야 합니다. 2. 이에 산학협력단에서는 연구노트 미발급에 따른 연구자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하고 연구자분들의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연구노트 신청·수령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적극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아울러 각 학과·부서에서는 소속 연구자에게 공람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1) 신청 및 발급: 연구비관리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신청(신청서 출력 불필요) 2) 수령: 학내우편 발송, 방문수령 중 택1 나. 연구노트교육: 스마트교육플랫폼에서 온라인 교육 수강 가능 다. 참고사항 1) 비대면신청을 하시면 신청서 출력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2) 교내우편 신청 시 수령은 신청일 기준 2~3일 뒤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교내우편 신청 시 배송지의 경우 책임자연구실 또는 희망배송지란에 입력을 부탁드립니다. 4) 방문수령하실 경우 수령예정일과 수령인 성명 및 연락처를 필수로 입력하셔야 하며 반드시 사전에 산학협력단으로 유선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연구노트발급현황 메뉴를 통하여 발급대상과제 확인이 가능하오니 미처 발급신청을 못하신 과제에 대해서는 즉시 연구노트 발급 신청 및 수령을 부탁드립니다. 다. 관련문의처: 연구감사팀 박규상 선임(내선번호:3492)
-
25
2023.09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화학약품 현행화(등록·수정·삭제) 요청
1. 관련:「화학물질관리법」제10조(화학물질 통계조사 및 정보체계 구축·운영) 2. 화학물질(시약) 통계 조사에 필요한 근거자료 확보를 위하여 각 연구실책임자는 보유하고 있는 화학약품(시약)을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http://safe.chungbuk.ac.kr)에 현행화[등록(신규 구입), 수정(보관량), 삭제(폐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위반시 조치 사항 「화학물질관리법」제64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제10조 제4항에 따른 화학물질 통계조사에 필요한 자료제출 명령에 따르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자. ※ 화학약품을 구입 및 폐기 시 즉시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에 처리(입력) 요망
-
16
2023.03퇴학원 서식
자퇴 희망 시 작성하여 1)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E8-1-102) 2) jojoohee@chungbuk.ac.kr 로 서명 완료 된 pdf 또는 한글파일 송부 후 학과사무실로 연락 043-261-2411
-
18
2022.07연구실 내에 보관해야 하는 안전관련 서류 목록 알림
첨부파일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