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자료
- 전체공지
- 학과공지
- 대학원공지
- 학과소식
- 행정자료
-
-
30
2025.09학과공지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 3차년도 DB글로벌칩XDB하이텍 반도체특성화트랙 장학생 모집 (~10.13.)
■모집개요 -신청기간: ~10/10(금) -신청대상: 반도체특성화 트랙 이수 학생 -지원금액: 1인 50만원 -지원방법: 신청서 작성 후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ahj101@cbnu.ac.kr) 자세한 내용은 사업단 홈페이지(https://semicon.cbnu.ac.kr)에서 확인 가능
-
18
2025.09대학원공지 2025-2학기 대학원 [실험실 안전 교육]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대학원 학위과정 수료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실험실 안전 교육 이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합니다. *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대학원 자연과학계, 공학계,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에게 적용 가. 이수대상: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나. 교육방법: 안전관리본부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온라인교육 6시간 이상 이수 다. 등록방법: 온라인교육 이수 후 이수증을 개인별로「개신누리」에 등록 <개신누리→ 수업→ 실험실안전교육실적관리→ 실험실안전실적신청(학생)> 라. 처리절차: 학생 등록→ 학과 조교 승인→ 단과대학 담당자 승인→ 대학원정책실 승인 마. 이수 및 이수증 등록 기간: 2025. 9. 15.(월) ~ 2026. 2. 27.(금) 바. 안내사항 1) 학점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대학원 수료요건에 해당 2) 2025학년도 전기(2026.2월) 수료예정자의 경우, 원활한 수료사정을 위하여 수강 및 이수증 등록을 2025. 12. 19.(금)까지 완료 * 2026.2월 졸업예정자의 경우 디펜스 전까지 완료 3) 석·박사과정은 12시간, 통합과정 24시간 이상 의무 이수
-
18
2025.09대학원공지 2025-2학기 대학원 [연구윤리]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2025학년도 2학기 대학원「연구윤리」온라인 교육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오니 해당 학생은 이수하기 바랍니다. - 이수기간: 2025. 9. 15.(월) ~ 12. 19.(금) - 이수방법: 온라인(충북대LMS 누리집) 개별 이수 후 개신누리에 학생이 직접 이수증 등록 - 기타사항: 2025. 12. 19.(금) 이후에는 수강이 불가하오니 해당학기 이수기간 내 이수증 출력 및 개신누리 실적 등록 필수
-
10
2025.09학과공지 [스마트융복합소재 캡스톤디자인]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일정 및 제출서류 알림
[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1. 일시 : 2025.11.20.(목) 10:00~17:00 2. 장소 : 개신문화관 1층 로비 [ 제출서류 ] 1) 캡스톤디자인 과제신청서 : 9/24(수) 14:00 까지 ①, ② 2) 포스터/결과집 : 11/11(월) 10:00까지 (예정) ① 참고) https://material.cbnu.ac.kr/material5_1_1/6745 3) 캡스톤디자인 재료비 신청서 : 과제신청서 제출 이후~경진대회 당일 까지, 기간 중 지출 필요 시 수시 제출 ② 4) 경진대회 : 11/20(목) 10:00~17:00 5) 졸업논문 : 11/26(수) 17:00까지 (확정) ① 6) 캡스톤디자인 과제 결과보고서 : 12/3(수) 17:00까지 (확정) ① * 모든 서류는 지도교수님께 승인 받은 후 제출 [ 제출방법 ] ① jojoohee@chungbuk.ac.kr (한글파일) ②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
-
-
30
2025.09[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 3차년도 DB글로벌칩XDB하이텍 반도체특성화트랙 장학생 모집 (~10.13.)
■모집개요 -신청기간: ~10/10(금) -신청대상: 반도체특성화 트랙 이수 학생 -지원금액: 1인 50만원 -지원방법: 신청서 작성 후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ahj101@cbnu.ac.kr) 자세한 내용은 사업단 홈페이지(https://semicon.cbnu.ac.kr)에서 확인 가능
-
10
2025.09[스마트융복합소재 캡스톤디자인]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일정 및 제출서류 알림
[ 2025학년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1. 일시 : 2025.11.20.(목) 10:00~17:00 2. 장소 : 개신문화관 1층 로비 [ 제출서류 ] 1) 캡스톤디자인 과제신청서 : 9/24(수) 14:00 까지 ①, ② 2) 포스터/결과집 : 11/11(월) 10:00까지 (예정) ① 참고) https://material.cbnu.ac.kr/material5_1_1/6745 3) 캡스톤디자인 재료비 신청서 : 과제신청서 제출 이후~경진대회 당일 까지, 기간 중 지출 필요 시 수시 제출 ② 4) 경진대회 : 11/20(목) 10:00~17:00 5) 졸업논문 : 11/26(수) 17:00까지 (확정) ① 6) 캡스톤디자인 과제 결과보고서 : 12/3(수) 17:00까지 (확정) ① * 모든 서류는 지도교수님께 승인 받은 후 제출 [ 제출방법 ] ① jojoohee@chungbuk.ac.kr (한글파일) ②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
29
2025.08** 공결 신청 안내 ** (2025.09.01.기준)
-
29
2025.082026-1학기 성적장학금 배정 관련 공지사항 (영어성적 반영) (~1.16.)
* 기타사항 1) 국가장학금(0~8분위)을 받는 학생의 경우, 전액장학금 대상이므로 성적장학금과 중복 불가. (9분위 학생은 중복가능) 2) 영어성적 반영하여 성적환산을 한 최종 점수의 순위로 장학금을 배정함. 3) 영어성적 미제출의 경우에도 기본점수 5점이 반영됨. * 반영예시 학생 A : 교과성적 4.5, 영어성적 미제출 → 점수 환산 시 90점 + 영어점수 미제출 5점 = 95점 학생 B : 교과성적 3.9, 영어성적 990점 → 점수 환산 시 83.7점 + 영어점수 990점 10점 = 93.7점 학생 C : 교과성적 4.1, 영어성적 700점 → 점수 환산 시 85.5점 + 영어점수 700점 8점 = 93.5점
-
-
-
18
2025.092025-2학기 대학원 [실험실 안전 교육]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대학원 학위과정 수료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실험실 안전 교육 이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합니다. *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대학원 자연과학계, 공학계, 의학계열 학과(부) 학생에게 적용 가. 이수대상: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나. 교육방법: 안전관리본부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온라인교육 6시간 이상 이수 다. 등록방법: 온라인교육 이수 후 이수증을 개인별로「개신누리」에 등록 <개신누리→ 수업→ 실험실안전교육실적관리→ 실험실안전실적신청(학생)> 라. 처리절차: 학생 등록→ 학과 조교 승인→ 단과대학 담당자 승인→ 대학원정책실 승인 마. 이수 및 이수증 등록 기간: 2025. 9. 15.(월) ~ 2026. 2. 27.(금) 바. 안내사항 1) 학점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대학원 수료요건에 해당 2) 2025학년도 전기(2026.2월) 수료예정자의 경우, 원활한 수료사정을 위하여 수강 및 이수증 등록을 2025. 12. 19.(금)까지 완료 * 2026.2월 졸업예정자의 경우 디펜스 전까지 완료 3) 석·박사과정은 12시간, 통합과정 24시간 이상 의무 이수
-
18
2025.092025-2학기 대학원 [연구윤리] 온라인 교육 수강 안내 (~12.19.)
2025학년도 2학기 대학원「연구윤리」온라인 교육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오니 해당 학생은 이수하기 바랍니다. - 이수기간: 2025. 9. 15.(월) ~ 12. 19.(금) - 이수방법: 온라인(충북대LMS 누리집) 개별 이수 후 개신누리에 학생이 직접 이수증 등록 - 기타사항: 2025. 12. 19.(금) 이후에는 수강이 불가하오니 해당학기 이수기간 내 이수증 출력 및 개신누리 실적 등록 필수
-
02
2025.092025학년도 전기 대학원 석·박사학위 논문심사 일정 안내
* 공개발표 일정 안내 - 일시 : 2025.10.23.(목) 14:00~ - 장소 : E8-2동 202호 2026.2월 졸업 희망자는 지도교수님과 먼저 상의 후 10.1.(수) 11시까지 아래 오픈채팅방 참여 https://open.kakao.com/o/g8SgmPPh
-
22
2025.052025학년도 대학원생 연구장려 장학금 지원 신청 안내 (~26.2.15.)
-
-
-
13
2025.10N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연구팀, 차세대 리튬 금속 배터리 분리막 개발 (Advanced Energy Materials 게재) (2025.10.02.)
왼쪽부터 이동주 충북대 교수, 김지한 KAIST 교수, 충북대 김슬기 박사, KAIST 이재웅 박사. 이동주 교수팀…Advanced Energy Materials 게재 [대학저널 온종림 기자]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연구팀이 리튬 금속 배터리 상용화의 핵심 난제인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 금속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월등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닌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으나,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튬 덴드라이트로 인해 안전성과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상용화를 가로막아 왔다. 특히 전극-전해질 계면에서의 이온 불균일 이동과 불안정한 계면 형성은 전지 단락과 화재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꼽혀왔다. 연구팀은 전이금속 탄화물 2차원 소재인 MXene을 도입한 PVDF-HFP 기반 기능성 분리막을 개발했다. 해당 분리막은 분리막은 리튬 이온의 균일한 이동을 유도하고 전지 내부에서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리튬 증착을 통한 덴드라이트 성장 억제, 장수명, 고효율 특성을 동시에 구현했다. 또한, 밀도범함수이론 계산 및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MXene의 극성 표면기가 전해질 음이온 환원을 촉진하여 안정적 고체 전해질 계면이 형성되는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배터리 소재 설계와 차세대 고에너지 밀도 리튬 금속 배터리 원천기술 확보와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와 △학연협력플랫폼구축시범사업, △교육부의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인프라 고도화)의 지원을 받았으며,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 IF 26.0)에 9월 10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이동주 교수와 KAIST 김지한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https://dhnews.co.kr/news/view/1065597249408265
-
13
2025.10N 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 '9월 이달의 연구자' 선정 (2025.09.30.)
- 세계 최초 콜드 소스 트랜지스터 어레이 구현 - [베리타스알파=박소현 기자] 충북대는 2025년 9월 '이달의 연구자'로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조병진 교수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조병진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IF) 26.8, 학문 분야별 IF 상위 2.1%에 해당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Advanced Materials에 'Chip-Scale Graphene/IGZO Cold Source FET Array Enabling Sub-60 mV dec−1 Super-Steep Subthreshold Swing'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단일층 그래핀을 소스 전극으로 활용한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반도체 기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8×8 어레이 형태로 구현하고, 상온에서 기존 실리콘 트랜지스터의 이론적 한계로 여겨지던 60 mV/dec 이하의 문턱전압이하스윙(Subthreshold Swing, SS) 특성을 칩 단위에서 균일하게 달성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를 통해 초저전력 트랜지스터 소자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성과를 거뒀다. 기존 연구에서는 반금속 소재를 소스 전극으로 도입하면 오프 상태에서 반도체/소스 계면의 전자 농도를 억제해 초경사 스위칭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이 보고돼 왔다.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소자를 '콜드 소스 트랜지스터'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 연구진은 졸-겔 공정을 통해 대면적 IGZO 산화물 반도체를 손쉽게 증착한 뒤, 전사 공정을 통해 단일층 그래핀을 소스 전극으로 도입해 8×8 콜드 소스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제작했다. 일반 금속 소스를 사용하는 IGZO 트랜지스터와 달리, 선형 전자 상태 밀도를 가진 그래핀 소스를 활용한 어레이 소자 대부분에서 상온에서도 균일하게 60 mV/dec 이하의 낮은 SS값을 구현했다. 또한 게이트 유전체와 SS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최적화해, 낮은 body factor를 갖는 하프늄 산화물 유전체가 SS 값을 60 mV/dec 수준으로 낮추는 핵심 요소임을 밝혀냈다. 조병진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주로 스카치 테이프 박리법으로 얻은 단일 그래핀이나 2차원 초박막 플레이크, 카본나노튜브 등을 활용한 단일 소자 수준에서 콜드 소스 특성을 보고하는 데 그쳤다"며, "이번 연구는 IGZO 산화물 반도체와 high-k 유전체를 적용해 어레이 소자 수준에서도 높은 수율과 신뢰성 있는 콜드 소스 특성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차세대 초저전력 반도체 개발의 전환점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 반도체와 초저전력 컴퓨팅 기술에도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성과다. 특히 삼성전자 DS 과제를 통해 도출한 결과로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를 출원해 학문적/산업적 가치가 더욱 크다"고 덧붙였다. 충북대는 이달의 연구자를 매월 선정하고 있으며, 논문 발표 학술지의 IF와 학문 분야별 상위 %, 연구개발(R&D) 수주 금액, 기술이전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연구자를 선정한다.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411
-
17
2025.09신소재공학과 김예담·김유정, '2025 이공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2025.09.04.)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전공 학석사연계과정인 김예담, 김유정(이상 석사 1년, 지도교수 조병진) 씨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이공분야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 김예담 씨는 「MoSXTeY 합금 계면층이 도입된 고성능 MoS2 트랜지스터 기반의 커패시터 없는 2T0C 디램 메모리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는 MoS2 반도체와 금속 접촉 계면에 비화학양론 전도성 소재인 MoSXTeY 계면층을 도입해 접촉 저항을 낮추고, 이를 기반으로 고성능 트랜지스터를 구현함으로써 커패시터 없이 동작 가능한 차세대 저전력 DRAM 소자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김유정 씨는 「전하 트랩 에너지 제어를 통한 장·단기 시냅스 가소성 제어형 다중 모드 MoS2 인공 시냅스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MoS2 소자의 벌크 및 계면 내 전하 트랩 에너지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생물학적 신경세포의 장·단기 기억 기능을 모사하고, 나아가 게이트 전압 제어를 통해 Reservoir Computing(RC) 및 Deep Neural Network(DNN) 기반의 멀티모달 인공 시냅스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 김예담 씨와 김유정 씨는 각각 미래형 반도체 메모리와 인공 시냅스 소자 관련 연구로 선정됐으며 두 연구 모두 미래 정보기술을 이끌 고성능 반도체 및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로의 확장성이 기대되며, 학부-석사 연계과정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연구를 기획하고 수행한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 지도교수인 조병진 교수는 “두 학생 모두 탄탄한 전공지식과 실험 설계 능력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했다”며, “이번 지원사업 선정을 통해 미래 반도체 분야에서 이들의 역량이 더 크게 발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이번 사업은 국내 이공계 석사과정생을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아이디어를 발굴·지원함으로써 석사 학위 논문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마련됐으며, 각 1,200만 원의 연구비를 1년간 지원받게 된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60925&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3
-
03
2025.09신소재공학과 김현기·최의영, 2025년도 교육부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2025.09.03.)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전공 김현기, 최의영 씨(석사 1년, 지도교수 김한슬)가‘2025년도 교육부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 김현기 씨는 이번 과제에서 ‘고효율 리튬-황(Li-S) 배터리 구현을 위한 2D MXene 소재의 최적 설계 연구’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셔틀 효과(shuttle effect)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리튬황 배터리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재 설계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 □ 이 연구로 원자 수준에서의 전자구조 해석과 흡착 에너지 분석 등 이론 계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금속 조성을 가진 MXene 기반 인터레이어 소재를 탐색한다. 아울러 대규모 문헌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 언어모델(LLM)을 연계한 AI 기반 접근법을 적용해, 데이터 기반 융합 연구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 최의영 씨는 ‘멀티스케일 전하수송 시뮬레이션을 통한 2차원 소재 이종접합 기반 초저전력·초경사 트랜지스터 소재 및 소자 최적 설계’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는 차세대 전자소자의 핵심인 초저전력 트랜지스터 개발을 위한 물질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원자 수준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하 주입 특성이 우수한 2차원 이종접합 구조를 설계하고, 소자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동 메커니즘과 전하 수송 특성을 정밀 분석함으로써, 향후 초경사(superslope) 트랜지스터의 저전력 구동 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할 계획이다. □ 한편, 2025년도 교육부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주관하는 국가 연구지원 프로그램으로, 국내 이공계 석사과정생(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생)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고 있다. 선정된 대학원생에게는 1년간 총 1,200만 원(매월 100만 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며, 올해는 세 번째 시행을 맞이했다.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48&bbsNo=14&nttNo=160859 https://www.cbnu.ac.kr/www/selectBbsNttView.do?key=558&bbsNo=17&nttNo=160816&pageUnit=10&searchCnd=all&pageIndex=1
-
-
-
08
2025.09[초대장] 신소재공학과 설립 50주년 기념행사 (2025.11.14.(금) 19:00)
[설문 기간 연장] * 참석여부 회신기한 : 2025.10.10.(금) 오전 10:00까지 * 참여 의사는 있으나 참석여부 확답이 어려우신 경우 [설문] 이라도 먼저 참여 부탁드립니다. - Google form (클릭) [행사 시간 변경] * 졸업생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행사 시작 시간을 19시로 변경하였습니다. 이미 참석 의사를 밝혀주신 동문 여러분께 양해 부탁드립니다. 주변 동문 졸업생 여러분께 전달해 주시면 행사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사무실입니다. 현재 학과에서는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설립 50주년 기념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초대장을 보내드리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행사일시 : 2025.11.14.(금) 19:00 ~ - 행사장소 :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층 다목적홀 [ 안내사항 ] - 참석 여부 회신 링크 : Google form (클릭) - 입금 계좌 : 카카오뱅크 3333-34-7292068 박기대 - 식사, 다과, 기념품 등 행사 준비를 위해 기간 내 회신, 입금 부탁드립니다. [ 전시 자료 제출 안내 ] Google Drive (클릭) cbnumaterial@gmail.com material@chungbuk.ac.kr 50주년 발자취 영상, 행사장 전시 등에 활용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사진, 영상, 문서, 연락처 등 자료가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발대식, MT 등 학과 공식 행사를 포함하여 학과 교수님, 학과 동기, 선후배와 함께 촬영한 사진, 편집부 자료(Grain, Crystal) 등 학과에 관련된 자료는 모두 가능합니다. [성함,학번] 으로 폴더를 생성하시고 업로드 해주시면, 담당자가 확인 후 자료를 다운받은 후, 드라이브에서는 삭제할 예정입니다. 업로드가 어려우신 경우, 이메일로 보내주셔도 됩니다. 메일로 보내실 때에는 학번, 성함 기재 부탁드립니다. (자료를 제공해 주시는 분께 소정의 상품을 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17
2025.06연구·검사용 폐시약(폐유독물) 위탁처리 알림
-
14
2024.05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안내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및 우리대학 연구노트 규정에 의거 국가R&D과제를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는 연구노트를 발급받아 작성해야 합니다. 2. 이에 산학협력단에서는 연구노트 미발급에 따른 연구자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하고 연구자분들의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연구노트 신청·수령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적극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아울러 각 학과·부서에서는 소속 연구자에게 공람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연구노트 신청 및 수령방법 1) 신청 및 발급: 연구비관리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신청(신청서 출력 불필요) 2) 수령: 학내우편 발송, 방문수령 중 택1 나. 연구노트교육: 스마트교육플랫폼에서 온라인 교육 수강 가능 다. 참고사항 1) 비대면신청을 하시면 신청서 출력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2) 교내우편 신청 시 수령은 신청일 기준 2~3일 뒤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교내우편 신청 시 배송지의 경우 책임자연구실 또는 희망배송지란에 입력을 부탁드립니다. 4) 방문수령하실 경우 수령예정일과 수령인 성명 및 연락처를 필수로 입력하셔야 하며 반드시 사전에 산학협력단으로 유선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연구노트발급현황 메뉴를 통하여 발급대상과제 확인이 가능하오니 미처 발급신청을 못하신 과제에 대해서는 즉시 연구노트 발급 신청 및 수령을 부탁드립니다. 다. 관련문의처: 연구감사팀 권순평 선임(내선번호:3492)
-
16
2023.03퇴학원 서식
자퇴 희망 시 작성하여 1) 학과사무실 방문 제출 (E8-1-102) 2) jojoohee@chungbuk.ac.kr 로 서명 완료 된 pdf 또는 한글파일 송부 후 학과사무실로 연락 043-261-2411
-